경상국립대 김영기 명예교수, '남명 조식과의 대화-경남의 역사적 이해' 출간
상태바
경상국립대 김영기 명예교수, '남명 조식과의 대화-경남의 역사적 이해' 출간
  • 이도균 기자
  • 승인 2021.03.07 16: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선대에서 후대까지 전승된 경남 사람들의 행동패턴은 ‘행의문화(行義文化)’”
- “올바른 역사인식으로 ‘혼몽의 역사’ 버리고 ‘정각의 역사’를 창조하자”
- “경남의 역사의 줄기를 세우고 인과적으로 서술한 책은 처음”

[경남에나뉴스 | 이도균 기자] 경상국립대학교(GNU·총장 권순기) 김영기 명예교수가 '남명 조식과의 대화-경남의 역사적 이해'를 출간했다.

김영기 명예교수와 ‘남명 조식과의 대화’ 표지
김영기 명예교수와 ‘남명 조식과의 대화’ 표지

이 책은 경남(경상우도)의 역사적 줄기를 세워서 각 사건의 개요와 역사적 의의를 서술한 다음 이러한 결과현상에 상관된 영향요인으로 ‘남명 조식의 학문과 사상과 실천’을 설정해 인과적으로 사유하고 서술했다.

저자는 책의 중심 내용을 인과적으로 서술한 다음, 서설에서 지배층이자 지도층의 잘못으로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가 된 안타까운 현실, 그리고 대륙을 지배하던 고조선에서 일제의 지배를 거쳐 ‘쪼개지고 작아진 나라’에 이르기까지 우리 민족사를 개관했고, 올바른 역사인식과 청산을 통해서 과거 ‘혼몽(昏懜)의 역사’를 버리고 ‘정각(正覺)의 역사’를 여는 주체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기 교수는 “경남의 역사의 줄기를 세우고 이렇게 인과적으로 서술한 책은 처음이다.”라고 밝혔다.

저자는, 먼저 경남의 역사적 사건들을 '공의도(公義度): 공동체의 가치를 지향하고 실천한 정도', '선도성(先導性): 가치 있는 일을 남보다 먼저 선택하여 실천한 정도'를 기준으로 삼아서 선별했다. 그렇게 선별된 경남의 자랑스러운 역사적 사건들은 ‘문익점의 목화 도입과 전파(1367)’, ‘남명 조식의 단성소(1555)’, ‘임진왜란 의병활동(1592)’, ‘진주농민항쟁(1862)’, ‘경남일보 창간(1909)’, ‘진주형평운동(1923)’, ‘영남예술제 창제(1949)’, ‘마산 3.15의거(1960)’, ‘부마항쟁(1979)’ 등이다.

선별된 사건에서 선도성은 확인됐으나 학자들이 공의도가 낮다고 평가한 두 사건(경남일보 창간, 영남예술제 창제)을 제외하고 일곱 개 사건별로 한 장(章)씩 배분해 서술하고, 그 역사적 의의를 정리해 한 문장으로 요약했다. 요약한 문장들을 통해서 역사적 사건의 주체들이 선택(실천)의 바탕으로 삼은 중심가치(또는 핵심가치)를 적시해 모았고, 거기서 행동의 패턴을 확인했다. 후대까지 점성(漸成)·전승된 경남사람들의 행동패턴을 저자는 경남문화로 규정했다. 그것이 곧 ‘행의문화(行義文化)’이다.

그런 다음, 저자는 경남의 자랑스러운 역사 또는 정신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볼 수 있는 남명의 학문·사상·실천의 내용과 남명에 대한 조선왕조시대 군왕과 사관의 평가, 그리고 오늘의 전문학자들이 남명의 역사적 공헌 등과 관련해 부여한 ‘민족의 스승’, ‘선비정신의 표상’ 등 호칭을 통해 남명이 역사적으로 어떻게 평가되고 있는지, 그리고 특히 철저한 인격수양(자기실천 또는 내적 실천)을 보여 준 점과 함께 단성소와 제자육성 등 사회적 실천을 주목해 서술하고, 남명이 현대의 우리에게 주는 교훈 등을 논의했다.

저자는 경남의 자랑스러운 역사와 남명 조식의 공헌을 인과적으로 사유하고 서술한 다음, 경남 선대들의 학문과 사상과 실천은 우리 민족사에서 지배층 집단에 자리하고 정책을 주도하면서 일제의 지배와 세계 유일의 분단국가라는 안타까운 결과현상을 초래한 집단(주자학당)의 사고와 행동은 사뭇 다르다는 점을 판별했다.

그리고 서설에서 우리 민족사를 비판적으로 고찰함으로써 경남의 선대들의 실천과 대비해 서술했다. 그리고 책의 결론에서는 올바른 역사인식과 청산을 통해서 ‘혼몽(昏懜)의 역사’를 버리고 ‘정각(正覺)의 역사’를 창조해야 한다고 지적하고, 함께 정각의 역사를 창조하는 주체가 되자고 역설했다.

김영기 명예교수는 (사)경남지역사회연구원 이사장 겸 원장, 진주포럼·네팔진주학교 상임대표, 지방자치학회 고문, 남명사랑 창립준비위원장, 공익사랑방 우락재(憂樂齋) 상임대표 등을 맡고 있다.

한국지방자치학회 학술상(2007년, 저서 부문), 경상남도문화상(제46회, 학술 부문), 진주시민상(2020년)을 수상했고 옥조근정훈장(2011년)을 수훈했다.


주요기사